It ain`t over it`s over

그룹명5/클래식향기

모짜르트 / 피아노 협주곡 23번 A장조 K.488

Richchi 2011. 4. 11. 11:13

 

 




 

 

모짜르트 - 피아노 협주곡 23번 A장조 K.488

 

피아노 : Clara Haskil
지휘 : Paul Sacher
비엔나 심포니 오케스트라



 

1악장 Allegro

 


2악장 Adagio



 
3악장 Allegro Assai


 

 

모짜르트의 피아노협주곡 23번은 유명한 곡이다.

좀 더 정확히 이야기하면,2악장이 유명해서 영화음악이나 CF 등에 많이 사용됐다.

 아름답고 슬픈 2악장의 경우는 피아노가 고독하고 적막한 공간감을 만들어 준다.

모짜르트의 피아노 협주곡들은 그 정묘한 맛과 향취, 피아노와 관현악의 밀고 당기는 듯한

 미묘한 경쟁, 관악기와 피아노 독주와의 대화가 주는 절묘함 등으로 잘 알려져 있다.


23번은 전성기 때 쓴 것으로 이때가 모짜르트의 가장 질 높은 피아노 협주곡들이 탄생하던 시기였다. D minor의 20번을 시작으로 2악장이 유명한 21번, 멋있는 22번, 그리고 이 곡을 거쳐서 24번으로 마무리되는 그의 전성기 피아노 협주곡들은 하나같이 그 나름대로의 가치가 있다.

그 중에서도 모짜르트의 장조 협주곡의 세계를 이해하려면 당연히 이 곡을 들어야 한다. 21번에서 시작하여 23번을 거쳐 25, 26, 27로 이어지는 장조 협주곡 군에서 이 곡은 가히 최고봉에 서 있다고 할 수 있다. 그 중에서도 23 번은 모짜르트 특유의 아이러니라 할 수 있는 우는 듯한 웃는 듯한 그 느낌을 가장 잘 나타내 준다.

이런 느낌은 특히 1악장에 잘 나타나 있는데,현악기가 유도하는 제1주제가 그 대표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다. 피아노는 화려하게 움직이고 관현악도 이에 맞추어서 들어갈 시간에 들어가고 나갈 때 나가는 앙상블을 보여준다. 이 곡의 1악장이 주는 아이러니는 형식에 나타나는 것이 아니고 멜로디가 주는 느낌이다. 절묘하게 조가 바뀌면서 분위기가 슬며시 변했다가 도로 돌아온다.


슈베르트가 전조로 인한 감정전환에 아주 능한데,모짜르트의 이런 면을 보고 배우지 않았나 싶다. 이 악장을 유심히 듣다 보면 베토벤의 피아노 협주곡 4번에 나타날 서정성의 극치를 미리 보는 것 같다.

사실 모차르트의 피아노 협주곡 24번이 베토벤의 3번 피아노 협주곡의 모델이 되었고 22번과 25번이 베토벤의 황제의 모델이 되었다는 점에서 이 곡을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4번의 모델로 삼게 되는 것에 망설이지 않게 된다.


바이얼린 소나타 K.301의 1악장을 들어본 사람은 그 곡이 주는 1악장의 극단적으로 아름다운 정신의 세계가 이 곡에서 어떻게 더욱 더 정화되었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