보 도 자 료 |
| ||||||||
|
|
|
| ||||||
배포 |
2012년 2월 28일 |
보도 |
2012년 2월 28일 | ||||||
담당 |
식품안전국 영양정책과(☎ 043-719-2262) |
과장 |
강백원 |
연구관 |
이우영 | ||||
|
외식! 나트륨 등 영양성분 확인하여 적당하게 드세요! - 국민 다섭취 외식 130종 영양성분 자료집 발간·배포 - |
□ 식품의약품안전청(청장 이희성)은 국민들이 건강한 식품을 선택하고 개인의 건강상태에 맞게 섭취를 조절할 수 있도록 ‘외식 영양성분 자료집’을 발간하여 전국 보건소와 교육청 등에 배포한다고 밝혔다.
○ 국민 다섭취 외식 130종의 나트륨 함량을 보면 1인분 기준으로 할 때 짬뽕 4,000mg(1,000g), 우동(중식) 3,395mg(1,000g), 열무냉면 3,152mg(800g), 소고기육개장 2,853mg (700g), 간자장 2,716mg(650g)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.
○ 식약청은 특히, 국물이 있는 음식의 나트륨 함량이 세계보건기구(WHO)의 1일 섭취 권고량(2,000mg) 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나 나트륨이 많은 국물을 적게 먹는 등 나트륨 섭취를 줄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당부하였다.
※ 나트륨 과잉섭취는 고혈압, 심혈관계․신장 질환 등을 유발
※ 면류의 나트륨 함량 분포 : 면 25∼44%, 국물 56∼75%
□ 식약청은 이번 자료집에 우리 국민들이 외식으로 많이 먹는 음식 130종의 사진과 함께 열량, 탄수화물 등 영양성분 27종의 함량과 지방산 26종의 조성을 수록하였다.
○ 특히, 음식별로 1인분에 해당하는 단백질, 지방, 나트륨 등의 함량과 1일 영양소 기준치에 대한 비율을 별도로 제시하여 국민들이 적정 섭취량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.
※ 영양소 기준치 : 식품의 영양적 가치를 보다 잘 이해하고, 다른 식품과 쉽게 비교할 수 있도록 식품표시에 사용하는 영양소의 평균적인 1일 섭취 기준량
※ 영양소 기준치 비율 표시 : 탄수화물, 단백질, 지방, 포화지방, 콜레스테롤, 나트륨
□ 식약청은 매년 대상 식품과 영양성분을 추가할 계획이며, 자료집에 수록된 음식은 식약청 홈페이지와 스마트폰 영양관리 앱인 ‘칼로리 코디’와 ‘칼로리 디자이너(3월 중 서비스 예정)’에도 제공하여 보다 많은 국민들이 실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.
첨부 1. 1인분 산정 방법
2.외식 영양성분 자료집
3. ‘외식 영양성분 자료집’ 음식별 나트륨 순위
4. 1일 영양소 기준치표(식품 등의 표시기준)
5. 지방산 설명자료
첨부 1. 1인분 산정 방법
○ 이번 조사는 전국을 6개 대단위로 구분하고, 각 대단위에서 인구 및 외식업체 수 등을 고려하여 3개 중심도시를 선정한 후, 각 도시의 4개 음식점을 임의 선택(random sampling)하고 대상음식을 구입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.
○ 1인분 중량의 설정 방법은 전국에서 구입한 외식음식 72개의 중량 값을 활용하여 평균, 최대값, 최소값, 최빈값, 중간값을 산출한 후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섭취량 등과 비교하여 1인분 중량을 정하였다.
※ 최빈값 : 데이터 수치 중에 가장 많이 나타난 값
첨부 2.외식 영양성분 자료집
첨부 3. ‘외식 영양성분 자료집’ 음식별 나트륨 순위
No. |
음식명 |
1인분 중량(g) |
1인분 나트륨(mg) |
100g 당 나트륨(mg) |
1 |
짬뽕 |
1,000 |
4,000 |
344 |
2 |
우동(중식) |
1,000 |
3,396 |
338 |
3 |
열무냉면 |
800 |
3,152 |
283 |
4 |
소고기육개장 |
700 |
2,853 |
408 |
5 |
간자장 |
650 |
2,716 |
279 |
6 |
알탕 |
700 |
2,642 |
103 |
7 |
물냉면 |
800 |
2,618 |
188 |
8 |
동태찌개 |
800 |
2,576 |
315 |
9 |
선짓국 |
800 |
2,519 |
286 |
10 |
자장면 |
650 |
2,392 |
118 |
11 |
우동(일식) |
700 |
2,390 |
109 |
12 |
만둣국 |
700 |
2,368 |
334 |
13 |
해물칼국수 |
900 |
2,355 |
377 |
14 |
내장탕 |
700 |
2,337 |
292 |
15 |
잡탕밥 |
750 |
2,110 |
75 |
16 |
어묵국 |
600 |
2,065 |
131 |
17 |
추어탕 |
700 |
2,046 |
491 |
18 |
된장찌개 |
400 |
2,021 |
505 |
19 |
떡만둣국 |
700 |
1,980 |
338 |
20 |
김치찌개 |
400 |
1,962 |
449 |
첨부 4. 1일 영양소 기준치(식품 등의 표시기준)
영양소 |
기준치 |
영양소 |
기준치 |
영양소 |
기준치 |
탄수화물(g) |
328 |
철분(㎎) |
15 |
판토텐산(㎎) |
5 |
식이섬유(g) |
25 |
비타민D(㎍) |
5 |
인(㎎) |
700 |
단백질(g) |
60 |
비타민E(㎎α-TE) |
10 |
요오드(㎍) |
75 |
지방(g) |
50 |
비타민K(㎍) |
55 |
마그네슘(㎎) |
220 |
포화지방(g) |
15 |
비타민B1(㎎) |
1.0 |
아연(㎎) |
12 |
콜레스테롤(㎎) |
300 |
비타민B2(㎎) |
1.2 |
셀렌(㎍) |
50 |
나트륨(㎎) |
2,000 |
나이아신(㎎ NE) |
13 |
구리(㎎) |
1.5 |
칼륨(㎎) |
3,500 |
비타민B6(㎎) |
1.5 |
망간(㎎) |
2.0 |
비타민A(㎍ RE) |
700 |
엽산(㎍) |
250 |
크롬(㎍) |
50 |
비타민C(㎎) |
100 |
비타민B12(㎍) |
1.0 |
몰리브덴(㎍) |
25 |
칼슘(㎎) |
700 |
비오틴(㎍) |
30 |
첨부 5. 지방산 설명자료
분류 |
기호 |
영문명 |
분류 |
기호 |
영문명 |
포화 지방산 |
4:0 |
Butyric acid |
불포화 지방산 |
20:1 |
Eicosenoic acid |
6:0 |
Caproic acid |
20:2 |
Eicosadienoic acid | ||
8:0 |
Caprylic acid |
18:2(n-6)c |
Linoleic acid | ||
10:0 |
Capric acid |
18:3(n-6) |
γ-Linolenic acid | ||
12:0 |
Lauric acid |
20:3(n-6) |
Eicosatrienoic acid | ||
14:0 |
Myristic acid |
20:4(n-6) |
Arachidonic acid | ||
16:0 |
Palmitic acid |
18:3(n-3) |
ɑ-Linolenic acid | ||
18:0 |
Stearic acid |
20:5(n-3) |
Eicosapentaenoic acid(EPA) | ||
20:0 |
Arachidic acid |
22:5(n-3) |
Docosapentaenoic acid(DPA) | ||
불포화 지방산 |
14:1 |
Myristoleic acid |
22:6(n-3) |
Docosahexaenoic acid(DHA) | |
16:1 |
Palmitoleic acid |
트랜스 지방산 |
18:1(n-9)t |
Elaidic acid | |
18:1(n-9)c |
Oleic acid |
18:2t |
trans-octadecadienoic acids | ||
18:1(n-7)c |
Vaccenic acid |
18:3t |
trans-octadecatrienoic acids |
○ 포화지방산
탄소와 탄소가 연속적으로 단일결합을 이루는 지방산(이중결합 없음), 대표적인 포화지방산에는 팜유에 많은 양이 함유되어 있는 palmitic acid(C16:0)은 C16H32O2의 구조식을 가지며, 직선상의 체인구조로 녹는점이 높아 상온에서 고체 상태로 존재하고, 많이 섭취하였을 때 혈액 내의 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여 심장질환의 발병률을 높이는 원인이 됨.
※ 포화지방산 영양섭취기준(한국인 영양섭취기준, ‘10) : 4.5∼7.0 %E(19세 이상)
○ 불포화지방산
지방산의 분자 내에 이중결합을 가지고, 이중결합의 수에 따라 단일 불포화지방산과 다가불포화지방산으로 나눔, 대표적인 단일 불포화지방산에는 올리브 오일에 많은 oleic acid(C18:1, n-9)는 C18H34O2의 구조식을 가지며, 이중결합에 의하여 지방산 골격이 구부러지는 구조로 녹는점이 비교적 낮아 상온에서 액체 상태로 존재하고, 이들 불포화지방산은 다량 섭취하였을 때 혈액 내의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어 순환기계 질병을 예방하는 효과를 나타냄.
※ 불포화지방산 영양섭취기준(한국인 영양섭취기준, ‘10) : n-6계 지방산 4~8 %E, n-3계 지방산 1 %E 내외(1세 이상>)
'그룹명7 > The garden of Knowledge 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스크랩] 『 허리 강화 운동.. 』 (0) | 2012.03.02 |
---|---|
[스크랩] 허리 강화 운동 (그림 보강) (0) | 2012.03.02 |
[스크랩] 한옥 민박 완소 리스트 (0) | 2012.02.25 |
[스크랩] 돈 안들이고 디스크 자가요법으로 완치기(사진첨부) 추가 사항.. (0) | 2012.01.24 |
[스크랩] Re: (3) 신경통을 동반한 허리통증 6단계 - 척추와 골반을 바르게, 근육과 관절을 튼튼하게 (등이 굽은 척추후만증 환자) (0) | 2012.01.24 |